생활용품의 정신병리학
좋은 디자인의 가장 중요한 특성 중 두 가지는 발견 가능성과 이해이다.
발견 가능성, 즉 어떤 행동이 가능한지, 그 일을 어디에서 어떻게 할 수 있는지를
알아내는 것이 가능한가?
이해, 즉 이것이 도대체 무슨 뜻인가?
제품이 어떻게 쓰라고 만들어진 것인가?
이 모든 여러 조절기와 설정이 무슨 뜻인가?
현대 기기의 복잡성
산업 디자인 : 사용자와 생산자 모두의 상호 이익을 위해 제품과 시스템의 기능, 가치 및 외관을
최적화하는 개념과 명세사항을 만들어 내고 개발하는 전문 서비스(미국산업디자인협회 웹사이트)
상호작용 디자인 : 초점은 사람들이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있다. 그 목표는 할 수 있는 일,
진행되는 사건 그리고 이제 발생한 일에 대한 사람들의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상호작용 디자인은 심리학, 디자인, 예술 및 정서의 원리를 바탕으로 긍정적이고, 즐거운 체험을
보장하고자 한다.
체험 디자인 : 전체 경험의 질과 즐거움에 초점을 두고, 제품, 과정, 서비스, 사건 및 환경을 디자인하는 업무
인간 중심 디자인
HCD와 디자인 명세의 역할
체험 디자인, 산업 디자인, 상호 작용 디자인 : 초점 영역들
인간 중심 디자인 : 디자인이 그것들이 의돟나 사람의 필요와 능력에 들어 맞는지를 확실히 하는 과정
우리가 제품과 상호작용을 할 때,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작동시킬 것인지를 알아차릴 필요가 있다.
그것이 무엇을 하는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어떤 조작이 가능한지를 발견하는 것, 즉 발견 가능성 밀이다.
발견 가능성은 다음 몇장에서 다뤄지는 다섯 개의 기초적인 심리학 개념을 적절히 응용하는 데에서 생긴다.
그것은 행위 지원성, 기표, 제약, 대응 및 피드백 이다.
여섯 번째 원리도 있다. 아마 가장 중요한 것일 텐데, 그것은 시스템에 대한 개념 모형이다.
진정한 이해를 주는 것이 바로 개념 모형이다.
나는 이들 기초 원리를 다룰 것인데, 행위 지원성, 기표, 대응 및 피드백부터 개념 모형으로 넘어갈 것이다.
행위 지원성
행위 지원성이라는 용어는 물리적인 대상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가리킨다. 행위 지원성은 물체의 속성과
행위자의 능력간 속성 관계성으로, 그 물체가 가능하면 어떻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인지를 결정한다.
의자는 받침을 제공하고, 그러므로 앉음을 지원한다.
대부분의 의자는 단 한사람의 힘만으로 나를 수 있는데, 그러나 일부 의자들은 힘센 사람이나 몇몇 사람만이
들 수 있다. 어리거나, 비교적 약한 사람이 의자를 들 수 없다면, 이런 사람에게 의자는 행위지원성을 지원하지 않는다.
유리는 투명성을 지원한다.
동시에 그것의 물리구조는 대부분의 물건의 통과를 차단한다.
그 결과 유리는 통과해서 봄과 받침을 지원하지만, 공기나 대부분의 물질의 통과는 지원하지 않는다.
통과의 차단은 반행위 지원성, 즉 상호작용의 금지로 간주될 수 있다.
효과가 있으려면, 행위지원성과 반행위 지원성은 발견 가능해야, 즉 지각 가능해야 한다.
이것은 유리에게 어려움을 제기한다.
우리가 유리를 좋아하는 이유는 유리가 눈에 잘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보통 창에는 유용하지만, 반행위 지원성을 숨긴다면,
날아가던 새가 목숨을 잃을 것이고, 뛰거나 걷던 사람 또한 부딪히고 다칠 것이다.
그것의 출현을 알리는 것을 기표라고 부른다.
기표라는 용어는 기호와 상징의 연구인 기호학이라는 이국적인 분야에서 오래되었으며,
눈에 띄는 내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내가 행위지원성을 전용하여 창안자가 의도했던 바와 약간 다른 방식으로
디자인에서 사용하듯이 나는 기표를 기호학에서 사용되는 것과 약간 다른 방식으로 사용한다.
나에게 기표라는 용어는 어떤 표식이나 소리, 즉 적절한 행동을 사람에게 알려주며
자각될 수 있는 어떤 표시기를 가리킨다.
. . . 중략